본문 바로가기

해외뉴스

한국 개신교의 미래: 예장 합동의 위기와 과제

대한예수교장로회 합동(예장 합동)은 한국 개신교의 보수 교단으로, 최근 몇 가지 문제로 인해 그 정체성과 신뢰성에 대한 우려가 커지고 있습니다. 다음은 예장 합동의 주요 문제점들을 정리한 내용입니다.

1. 대형교회 목회자 세습 문제
세습 금지 결의: 2013년 예장 합동은 직계 자녀에게 담임목사직을 물려주는 것을 금지하는 결의를 했으나, 2014년 이 결의를 뒤집고 세습에 대한 논의를 봉쇄했습니다.
사례: 사랑의교회 오정현 목사는 세습 논란에 휘말렸으며, 그의 아들이 새 교회를 개척하면서 부자 세습 의혹이 제기되었습니다. 이러한 세습 구조는 교회 권력이 특정 가문에 집중되는 경향을 보이며, 이는 사이비 종교의 특징으로 비판받고 있습니다.
2. 총회 운영의 불투명성과 권력 남용
폐쇄적 구조: 예장 합동 총회는 외부의 감시를 차단하고, 내부의 부정과 비리를 해결하기보다는 권력 유지를 우선시하는 경향이 있습니다.
사례: 2019년 총회에서 교회 앞 시위를 금지하는 결의안을 통과시키면서 재정 공개와 소통 창구 마련은 기각되었습니다. 이러한 행태는 사이비 종교에서 볼 수 있는 폐쇄성과 독선의 징후로 여겨집니다.
3. 반지성주의적 태도
여성 및 성소수자 문제: 예장 합동은 여성 안수와 성소수자에 대한 논의에서 시대의 변화와 지성적 접근을 거부하고 있습니다. 여성 목사 안수는 여전히 금지되어 있으며, 동성애자에 대한 극단적인 배타적 태도를 보이고 있습니다.
사회 개입: 포괄적 차별금지법에 대한 반대 집회를 열고 정치권에 압박을 가하는 등 과격한 사회 개입을 서슴지 않고 있습니다. 이러한 태도는 지성보다는 광신에 가까워, 교단의 '사이비화'를 우려하게 만듭니다.
결론
예장 합동이 이러한 문제들을 자성하고 개선하지 않는다면, 더 이상 '정통 교회'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입니다. 권력과 아집에 빠진 종교 조직은 신앙 공동체가 아닌 광신 집단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으며, 현재의 교권 집착과 폐쇄적인 태도를 지속한다면 스스로 신종 사이비의 길을 선택하게 될 것입니다.